C7 C : 반복문 while 문은 변수를 미리하나 만들어 놓고 사용해야 합니다. int i = 0이라고 변수를 하나 만들어놓고 while(조건) i보다 100이 크다면 반복을 합니다. 우선 주석으로 되있는 문장부터 보면 result에 i + 1이라는 값을 더한다음 대입을 시켜주고 i++ i를 1씩 증가시켜줍니다. 그럼 result에는 처음에는 i는 0이지만 + 1을 해서 1이 된 값을 result에 대입해주고 i가 1이 증가되어 다시 조건을 따져보면 1 < 100 이죠 다시 참입니다. 이런 식으로 조건이 거짓이 될 때까지 반복합니다. 근데 안에서 if문으로 i가 50이라면 break를 통해 탈출을 시켜서 50이 되면 while문을 나오게 됩니다. 값은 1275 밑에 ++i를 하면 즉시 증가이기에 같은 의미입니다. do {.. C 2022. 2. 26. C : switch switch (값) 값을 기준으로 실행합니다. 주의할 점은 값의 자료형에 맞춰서 case 값: 에서 값의 자료형도 따라가야합니다. 즉 int select 이니 case 값: C 2022. 2. 26. C : if if (조건식){ 실행할 문장 } 조건식이 참이라면 if문 안에 있는 문장이 실행되고 조건식이 거짓이라면 실행을 안합니다. 하지만 else가 있다면 if가 거짓일경우 else로 들어와서 문장을 실행합니다. 즉 if 혼자 있으면 -> 참이면 실행 거짓일 경우 무시 if랑 else 같이 있다면 -> 참이면 if문 실행 else 무시 / 거짓일경우 if 무시 else 실행 if 문에 조건식을 &&를 이용해서 두개를 주었습니다. 둘다 참이여야 실행입니다. else if 는 if가 거짓일경우 else if 에서 한번더 조건식을 검사하고 참이면 실행 아니라면 다시 else로 들어가게 됩니다. 우선 grade 에 b라는 문자로 초기화를 하였고 score는 입력받습니다. 80을 입력하면 score = 80이 됩니다. .. C 2022. 2. 26. C : 연산자 ++ 은 1을 더해준다는 의미인데 a라는 변수가 있으면 ++a 와 a++ 가 있는데 둘의 차이점은 언제 증가해주냐에 있습니다. 만약 ++a라고 한다면 즉시증가 즉 a가 1이라는 값을 가지고 있다면 2가 되는 것인데 a++ 은 후증가입니다. 다음 호출할때 증가가 되는 것입니다. 사진을 보시면 이해가 빠르실 겁니다. studentYear++을 하면 아직 1이지만 다음에 호출되어 2가 되는 것입니다. 만약 출력문에서 printf("학년 : %d", studentYear++); 이렇게 하면 다음 호출때 증가라서 1로 출력이 됩니다. -- 도 있는데 ++과 동일합니다. 하지만 1씩만 증가되고 감소됩니다. stdbool.h 해더파일을 사용하면 true, fals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자료형은 bool로 사용합니.. C 2022. 2. 26. C : 상수와 입력 상수 : 항상 변하지 않는 값 #define PI 3.14 대문자로 선언 리터럴 : 컴퓨터에 이미 정의되어 있는 상수 정수 = int 실수 = double 형 변환 업캐스팅 문자 -> 정수 -> 실수 값이 작은 범위에서 큰 범위로의 형 변환 다운캐스팅 실수 -> 정수 -> 문자 값이 큰 범위에서 작은 범위로의 형 변환 MAX 라는 상수를 선언하고 (무조건 대문자로) 100이라는 값을 대입시켰습니다. 이때는 대입연산자(=) 세미콜론(;)을 사용하지 않습니다. 그리고 변수를 선언할때 const를 사용해도 상수가 선언 가능하지만 보통 #define으로 많이 선언합니다. 메모리 낭비가 덜 하기 때문입니다. 상수의 값은 절대 수정 할 수 없습니다. 출력함수에 max min const_PI의 값이 잘 들어갔네요. .. C 2022. 2. 26. C : 변수의 선언과 출력하기 #include #이 붙으면 전처리기라는 의미이고 이것은 컴퓨터가 사전 준비를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. include : 헤더 추가 등의 현재소스코드에 추가 stdio.h : 표준 입출력 가장 기본적인 라이브러리를 가지고 있습니다. 그리고 main() 함수는 프로젝트 하나에 무조건 하나만 있어야 하는데 만약에 두개가 있어 겹친다면 컴파일이 되지 않고 에러가 뜨게 됩니다. void 는 아직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. 나중에 함수 부분에서 다시 설명 드리겠습니다. 기본적으로 printf()는 출력함수인데 쌍따옴표 안에 원하는 문장을 입력한다면 원하는 문자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. 문자를 표현 하고자 할때는 ' ' 를 사용하면 되고 문자열을 표현할 때는 " " 를 사용합니다. 문자는 A 와 같이 하나만 있는 것이.. C 2022. 2. 26. C : 들어가기 앞서서.. cpu : 연산처리 ram : 주 기억장치 hdd : 보조 기억장치 메모리는 ram의 영역 하드디스크는 보조 기억장치는 느립니다. 하지만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남아있습니다.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용량이 큽니다. ram은 속도가 디따 빠릅니다. cpu에서 필요한 것을 하드디스크에서 미리 가져와서 연산을 하고 연산을 하면서 계속해서 하드디스크에서 미리 가져옵니다 비트(bit) 0또는 1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최소 단위 1bit가 가지는 총 경우의 수는 0과 1, 두 가지입니다. 바이트(byte) 8bit를 한 단위로 표준화한 요량 단위 1byte가 나타낼 수 있는 총 경우의 수 0000 0000 ~ 1111 1111 까지 자료형 크기 정수형 부호있음 short 2바이트 int 4바이트 -21억~+21억 .. C 2022. 2. 26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