변수
저장공간과 값의 구분을 정확히 할 줄 알아야 합니다.
data = 10 //data : 저장공간
data + 9 //data : 값
data = data + 9 //data : 저장공간, data : 값
data - 9 //data : 값
print(data) //data : 값
data = 20 + 9 //data : 저장공간
이렇듯 A = B 는 =가 있기에 A는 무조건 저장공간입니다.
대입 연산자(복합 대입 연산자, 누적 연산자)
+=, -=, *=, /=, %=, //=,...
money = 10000
money - 1000
print(money)
를 하게되면 9000 이 아니라 10000이 출력됩니다.
이유는 money(10000) - 1000 = 9000 이 맞지만 9000이라는 값을 다시 money 라는 공간에 집어 넣어줘야 하는데
그걸 하지 않았기 때문에 10000 이라는 정수가 나온 것 입니다.
money = 10000
money = money - 1000
print(money)
그렇기 때문에 money = money - 1000 와 같이 money 에서 1000을 뺀 값을 money 라는 공간에 저장을 하면
print(money) 에서 9000이 잘 나옵니다.
money = 10000
#money = money - 1000
money -= 1000
print(money)
그런데 money = money - 1000 좀 길죠?
그래서 누적 연산자를 통해서 money -= 1000 이렇게 짧게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.
A += B == A = A + B 같은 의미입니다.
A 에 더해서 대입해라! 뭐를? B를!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 : list의 기본 설명 (0) | 2022.02.15 |
---|---|
Python : for, while문과 기타제어문 (0) | 2022.02.07 |
Python : if (0) | 2022.02.07 |
Python : 삼항 연산자 (0) | 2022.02.07 |
Python : 실수의 오류(미완성) (0) | 2022.02.0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