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장 기본이 되는 농산물 구매, 판매를 구현을 하였고 조금 특별함을 주고 싶어서 재배기능을 구현했습니다.
판매 화면입니다. 회원이 가지고 있는 농산물을 볼 수 있는 버튼이 있고 농산물의 데이터를 보여줍니다.
재배 화면입니다. 재배 기간을 보여줍니다.
let choice = false;
let delay = obj.growDay;
choice = confirm(obj.productName + "은(는) 재배 완료까지 " + delay + "초가 걸립니다.\n그래도 진행하시겠습니까?")
if(choice) {
// 1 ~ 10 사이의 난수 생성
let randAmount = Math.floor((Math.random() * 10) + 1);
let checkProductFlag = checkUserProduct(obj.productName, userCode);
if(checkProductFlag) { // 해당 농산물이 존재한다면 개수만 update
obj.amount = amount + randAmount;
} else { // 없다면 가격 책정하고 개수 insert
let salesPrice = prompt("개당 얼마로 판매하시겠습니까?");
obj.price = salesPrice;
obj.amount = randAmount;
}
setTimeout(() => {
updateUserProduct(obj, checkProductFlag);
alert(obj.productName + "을(를) " + randAmount + "개 재배완료 했습니다.");
growingFlag = false;
}, delay * 1000);
growingFlag = true;
}
회원이 이미 재배하고자 하는 농산물을 보유하고 있다면 구매시 정했던 가격 그대로 개수만 업데이트 되고
새로운 농산물이라면 가격을 정하고 개수가 업데이트 되는 방식입니다.
setImeout() 과 함께 delay를 주어서 시간이 지나면 alert창과 update가 되게 구현했습니다.
'Spring boot > 농장 관리 사이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농장 관리 사이트] 메인 화면 (0) | 2022.10.25 |
---|---|
[농장 관리 사이트] 연습 시작 (0) | 2022.10.2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