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ython

Python : 서식문자, 아스키코드, 자료형 변환, 제어문자

코딩딩코 2022. 2. 7.

서식문자(format)
반드시 따옴표 안에서 작성합니다.

 

1. %

%d : decimal 정수(10진수)
%o : octal 정수(8진수)
%x : hexadecimal 정수(16진수)
%f : float 실수
%c : character 문자
%s : string 문자열

name 은 문자열이죠     : %s

age 는 정수죠             : %d

height 는 실수죠          : %f

※여기서 %.2f 를 쓰게되면 소수점이 2개까지만 출력됩니다.

%.3f 를 쓰게 되면 소수점이 3개까지 나오겠죠

hobby 또한 문자열이죠 : %s

이렇게 각자의 변수에 일치하는 서식문자를 사용하게 되면 제대로 출력이 됩니다.

출력하고자 하는 변수 앞에는 똑같이 %를 써줘야 합니다.

 

2. "".format()

나눠서 보겠습니다.

data1 에는 10이라는 정수를 대입하였고

data2 에는 10.4231 이라는 실수를 대입했습니다.

"{}".format(변수명) 을 사용하게 되면 서식문자를 안 써도 됩니다.

이게 무슨말인가 하면

위에서 했던대로 하면

print("data1 : %d" %data1) 이렇게 %d를 써야하는데

format을 사용하게 되면 따로 적어줄 필요가 없습니다.

따라서 변수의 자료형이 무엇인지 잘 모를때 format을 써준다면 유용할 것 같습니다.

 

다음 {} {} 을 두번 쓰면 format(data1, data2) 중에서 왼쪽부터 차례대로 들어갑니다

 

data3 에는 A 라는 문자를 대입하였고

data4 에는 ABC 라는 문자열을 대입하였습니다.

A 는 문자이기 때문에 %c를 이용해서 출력했습니다.

%s 는 문자도 출력할 수 있습니다. 그러므로 오류가 뜨지 않았죠.

ABC는 문자열이기 때문에 %c 를 사용하면 안 되고 %s를 사용해야 합니다.

 

%c 에 %65 라는 정수를 불러왔습니다.

그랬더니 A가 나왔죠. 이건 아스키 코드 라는 것인데

 

아스키 코드 : 컴퓨터가 문자를 기억하고 있는 정수 값
예) A : 65
      a : 97

 

구글에 아스키 코드라고 검색하면 표가 나와있습니다. 그걸 보고 참고하면 됩니다.

대문자 A는 65라고 나와있고 65를 %c를 통해서 문자로 출력하니까 A가 나왔습니다.

밑에 B C 도 동일합니다.

 

형변환


1. 자동 형변환
정수 + 정수 = 정수
정수 + 실수 = 실수

3 + 0.0 = 3.0

 

2. 강제 형변환
자료형(값)
int(10.98) == 10

10 / 3을 하면 3.3333333...라는 나머지값도 같이 나옵니다.

파이썬에서는 // 라는 몫 연산자가 있습니다.

이것을 이용하면 나머지는 안 나오고 오로지 몫만 나오게 됩니다.

 

이것을 자동 형변환이라 하고

 

10(정수) // 3(정수)

그렇다면 3 이 나올 것 같지만 결과는 3.0이 나왔습니다.

float(값) 으로 10이라는 정수를 실수로 변환시켰기 때문입니다.

 

이것을 강제 형변환이라고 합니다.

 

제어 문자


반드시 따옴표 안에서 사용합니다.
\n : 줄바꿈, 개행문자 (new line)
\t : 위 아래 줄 간격 맞춰 띄기 (tab)

\\ : \ 표현
\" : " 표현
\' : ' 표현

이렇게 \"홍길동\" 을 사용하니 "홍길동" 이라고 예쁘게 잘 나옵니다.

그리고 파이썬에서는 print함수를 한번 쓰고 다음 줄에서 다시 print함수를 쓰게 되면 자동으로 줄바꿈 처리가 됩니다.

그래서 그렇게 안 하고자 한다면 위와 같이 , end = "" 를 써주면 줄바꿈 처리가 안 됩니다.

댓글